[NFS 서버]
Linux/Server

[NFS 서버]

0. NFS 서버란?


Network File System: 서버의 디렉토리를 다른 클라이언트들과 공유하는 것

                                         자연스럽게 보안 문제도 딸려온다.

 

 

 

1. NFS 서버 설정


dnf -y install nfs-utils

gedit /etc/exports : 공유할 디렉토리 설정

디렉토리이름       접근할_호스트 IP주소나 이름( 접근권한 옵션 )

읽기 쓰기 전용, 동기화 방식 

mkdir /share : 폴더 생성

chmod 707 /share : 접근 권한 설정

후에 아무 파일이나 넣어보기

귀여운 코기

systemctl restart/enable nfs-server :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op firewalld

exportfs -v : 서비스 가동 확인

root_squash : client가 root라는 이름으로 접속했을 때 root 권한을 주는 것을 방지

                            (no_root_squash : client에게도 접근 권한을 이름따라 똑같이 줌 )

 

 

 

  • 리눅스 client로 접속

net-utils 패키지 설치

showmount -e 192.168.111.100 : NFS 공유 디렉토리 확인

unable to receive 오류 떠서 뭐지하고 봤는데, 블로그엔 적었는데 server 방화벽 해제를 깜빡함..

보임

NFS 서버의 /share 디렉토리를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

  • mkdir clientShare
  • su -c 'mount -t nfs 192.168.111.100:/share clientShare' : -t nfs (파일시스템 = nfs)

clientShare 디렉토리의 강아지 파일을 홈 디렉토리로 복사

클라이언트 쉐어 디렉토리에서 삭제 후 서버 디렉토리 확인 --> 없음

 

if. 재부팅 시에도 마운트하고 싶으면

vi /etc/fstab : 파일 시스템 저장 파일, 부팅시 마운트 정보 저장 파일

nfs서버IP:서버공유디렉토리   클라이언트마운트 디렉토리   nfs   defaults 0 0 추가

 

 

 

'Linux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서버]  (0) 2021.08.04
[네임 서버]  (0) 2021.08.01
[원격 시스템 관리]  (0) 2021.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