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Server

    [NFS 서버]

    0. NFS 서버란? Network File System: 서버의 디렉토리를 다른 클라이언트들과 공유하는 것 자연스럽게 보안 문제도 딸려온다. 1. NFS 서버 설정 dnf -y install nfs-utils gedit /etc/exports : 공유할 디렉토리 설정 디렉토리이름 접근할_호스트 IP주소나 이름( 접근권한 옵션 ) mkdir /share : 폴더 생성 chmod 707 /share : 접근 권한 설정 후에 아무 파일이나 넣어보기 systemctl restart/enable nfs-server :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op firewalld exportfs -v : 서비스 가동 확인 root_squash : client가 root라는 이름으로 접속했을 때 root 권한을 주는 ..

    [FTP 서버]

    0. FTP 서버란? file transfer protocal : 파일을 전송하는 프로토콜 TCP/IP 기반으로 작동하며 well known port 20번, 21번을 사용한다. 20번 포트는 데이터 채널 21번 포트는 제어 채널 ftp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을 하게 되면 서버의 21번 포트를 통해서 제어와 관련된 세션이 열린다. 20번 포트는 반대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1. Active / Passive 모드 어느쪽에서 어디로 연결하냐에 따라 모드가 달라진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접속은 Active 모드로 ( 서버가 주도적인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 쪽으로의 접속은 Passive 모드로 ( 클라이언트가 주도적인 ) Active 모드 1. client가 5150포트를 사..

    [네임 서버]

    0. 네임서버란? 네임 서버 = DNS 서버 URL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을 담당하는 서버 미리 알아두면 좋은 리눅스 파일, 디렉터리들 /etc/resolve.conf : 네임서버 ( 정확히는 로컬 네임서버 )가 설정된 파일 /etc/hosts : IP주소 URL 로 등록된 전화번호부 같은 파일 /etc/host.conf : URL 주소를 입력했을 때 먼저 확인해야 할 것들이 기록된 파일 * order hosts, bind : 먼저 hosts를 찾고 네임서버에 질의 * order bind, hosts : 네임서버에 먼저 질의 후, 없으면 hosts 찾기 * multi on : /etc/hosts 파일에 여러 개 URL을 등록 가능 1. URL 을 입력 -> 2. (order hosts, bind일 때..

    [원격 시스템 관리]

    0. 원격 시스템 관리란? 멀리 있는 장소의 컴퓨터에서 내 리눅스에 접속하는 것 자연스럽게 보안 문제도 딸려온다.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원격 접속 서버는 대표적으로 텔넷, SSH, VNC 등이 있다. 1. 텔넷 서버 설치 및 실행 dnf -y install telnet-server로 텔넷 서버 설치 텔넷 서비스 가동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 서버 실행 systemctl status telnet.socket # 서버 상태 확인 텔넷 전용 사용자를 생성하고, 내 컴퓨터에서 접속 telnet IP주소 : 텔넷 클라이언트로 원격 pc에 접속, 지금은 원격 pc가 아니지만.... 텔넷을 사용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접속 (?), 1도 안 신기하다. 그냥 사용자만 바꾸면 되는 거 아닌가 ..